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동향

대출금리 대폭인상 vs 미국은 금리인하 시사 - 부동산, 주식은 어디로?

by 부동산0119 2024. 8. 24.
반응형

미국은 금리인하를 시사
한국은 대출 금리 대폭 인상중
엇갈린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응형

부동산과 주식투자는 어디로 가는지 주의깊게 봐야할 시기입니다.


뉴스를 보면
시중은행에서 주담대와 전세 대출금리를 지속적으로 올리고 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은행의 경우 무려 0.4% 추가 인상했습니다.
1금융권 뿐만 아니라 2금융권도 인상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왜?

☞ 부 동 산
 
 

최근 부동산 동향이 심상치 않습니다.
서울은 신고가 랠리, 코로나 폭등기보다 최대폭 상승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주택 매매 심리지수 또한 꿈틀대고 있는대요. 


금리 인하를 압박해왔다가
지금은
부동산 상승, 가계대출 증가세금융권을 압박 제스쳐를 보내
금융권에서 선제적으로 금리를 올리는 중입니다.
 
오락가락이라고 해야하나요?
 


 


 

미국은 금리인하 시사 

 
미국 주식시장이 호재로 받아들여 일제히 상승마감 했습니다.
 

9월 -0.25% vs  -0.5% 

베이비컷, 빅컷에 따라 자산시장이 요동칠 것으로 보입니다.
-0.5%일 경우 자산시장 폭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지표를 보고 결정하겠다며 신중한 발언을 이어갔습니다.


한국은행은 미국금리 인하에 따라 동결을 할지? 같은 폭으로 인하를 할지?
시중은행 금리는 내릴지? 오를지?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만약 같이 내린다면 자산시장은 세계적 흐름에 따라 다시 오를테고
변화가 없다면 부동산은 잠시 주춤할 듯합니다.


 
최근 주식시장에서는
반도체, ai 종목 위주로 큰 낙폭을 보여왔습니다.
이 섹터에서 크게 떨어졌던 종목들 위주
국내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같은 종목을 분할 매수해가며 동향을 지켜보면 좋을 듯합니다. 
 
9월 금리인하를 얼마나 할지?
한국은 어떤 방향으로 금리를 결정할지?
지켜보며 다음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