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들어 서울, 수도권 집값이 상승세를 타며 신고가를 갱신중입니다.
집값 안정화를 위해 88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는데
주요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서울 경기 수도권 부동산 동향 분석 포스팅은 참고하세요!
24.08.09. 부동산 동향 - 서울 상승세 수도권으로 번졌나? -분석해보자! (tistory.com)
24.08.09. 부동산 동향 - 서울 상승세 수도권으로 번졌나? -분석해보자!
24. 7 .12 서울 부동산은 불장? 지방으로 번지나. 분석 (tistory.com) 24. 7 .12 서울 부동산은 불장? 지방으로 번지나. 분석금리 인하가 점점 다가오고 있고, 어느정도 바닥을 찍었다는 의견이 나오며
budongsan0119.tistory.com
88부동산 주요 대책 요약
집값의 폭등과 폭락을 원하는 정부는 없습니다.
물가상승률만큼의 완만한 상승을 추구합니다.
이번 주요 대책을 보겠습니다.
1. 수도권 8만호 공급, 그 중 1만호는 그린벨트지역
- 그린벨트 해제 유력지역 : 내곡 / 세곡 / 자곡 / 수서
벌써 개발 유력지역 정보가 많이 흘러나와서 아쉬움이 있습니다.
주로 서초, 강남이네요.
2. 6년간 서울 수도권에 42.7만호 집중 공급
- 1년에 8만호 예상
3. 비아파트(빌라,오피스텔 등) 11만호 매입임대
- 최근 전세사기 영향으로 비아파트 기피현상이 두드러지며, 이쪽 시장이 많이 죽었습니다.
기피현상으로 아파트 선호현상이 쏠리다보니 비아파트 매입임대 정책으로 거주 후 매매까지 할 수 있게 한다고 합니다.
빌라 오피 업자들 배불리는 역효과가 우려됩니다.
4. 수도권 21만호 공급 - 실수요자에 조기 분양
- 기존 주택에 관심을 줄이고, 앞으로 공급될 주택으로 분산시키기 위함인 듯 합니다.
5. 재건축 재개발 3년 단축, 조합원 취득세 감면
- 조합원의 이익은 있을지라도, 실수요자에겐 체감이 미미할 듯 합니다.
6. 수도권 공공택지(신도시) 미분양시 LH에서 매입
- 미분양 발생으로 공급이 위축될 우려를 없애 건설사에게 공급을 독려
종합
실수요자에게 체감이 되려면, 즉각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대출규제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공급정책의 경우 허가, 착공, 준공까지 수 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공급은 경기권, 특히 외곽은 아무리 짓는다 한들 의미없는 공급이며
서울 중심 공급이 핵심이겠네요.
'부동산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출금리 대폭인상 vs 미국은 금리인하 시사 - 부동산, 주식은 어디로? (0) | 2024.08.24 |
---|---|
24.08.09. 부동산 동향 - 서울 상승세 수도권으로 번졌나? -분석해보자! (0) | 2024.08.09 |
24. 7 .12 서울 부동산은 불장? 지방으로 번지나. 분석 (0) | 2024.07.12 |